[ 반야심경 ] 불구부정(不垢不淨) > 장경각

사이트 내 전체검색

모두가 함께 꿈을 이루어가는 청년 부처님의 세상
장경각

장경각

[ 반야심경 ] 불구부정(不垢不淨)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09-11-16 14:12 조회5,603회 댓글0건

본문

공의 두 번째 모양은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일체 모든 존재의 본성,
인간의 본성은 더럽거나 깨끗하다는 분별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 말은 다시 말해 모든 존재의 본성은
절대 청정성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청정’이라는 것은
더러움의 반대 개념으로서 청정이 아니라,
어느 것에도 비견될 수 없는 절대적인 청정성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우리들이 흔히 깨끗하다, 더럽다고 하는 것은
상대적인 분별심일 뿐입니다.
우리는 어렵고 힘든 일을 할 때에는 작업복을 입으며,
의례 옷이 더럽혀질 것을 알고 있기에
어느 정도 더러워지더라도 더럽다는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맞선을 보려고
티 하나 없이 깨끗한 양복을 입고 나갔다고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이때에는 사뭇 상황이 달라지게 됩니다.
작은 잡티가 있어도 신경이 쓰이고, 더럽게 느껴집니다.
우리 마음에서 그렇다는 것입니다.

있는 그대로 본다면,
작업복을 입고 일을 할 때 훨씬 더 더러운 데도 말이지요.

이처럼 더럽다거나 깨끗하다는 것도
상황 따라, 인연 따라 다른 것이지,
본래 더럽고 깨끗한 고정됨이 있지 않은 법입니다.
우리의 마음이 깨끗하다는 상을 내며,
더럽다는 상을 내는 것에 불과합니다.
우리의 분별심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예전에 대학교 때는 일년에 한 두 번 정도
고등학생 법우들과 함께 수련대회를 다닌 기억이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있어, 수련대회의 재미는 발우 공양에 있습니다.
사뭇 낯선 광경에 당황하는 이들이 꽤나 많습니다.

수련대회를 끝내며 설문조사를 하면,
가장 하기 싫은 것에 발우 공양이 들어있는 것을 보고,
학생들에게 왜 싫은가를 물어 보았습니다.
한마디로 ‘더럽다’는 것입니다.

음식 찌꺼기를, 김치를 휘휘 둘러 숭늉으로 씻고는,
다시 마시는 것에 대해 더럽다고 하는 것입니다.
사실 우리 몸 안으로 들어가면 다 똑같은 음식일 뿐입니다.
그러나, 밥상을 차려 놓고 밥을 먹고 나서 김치를 먹고,
그리고 숭늉을 마시면 깨끗하고,
이것을 발우에 놓고 함께 먹으면 더럽다는 것입니다.

다만, 시간적으로 선후가 정해지면 깨끗하고,
함께 먹으면 더럽다는 것은 우리의 분별심이지,
실제로 더럽고 깨끗한 것은 아닌 것입니다.

학생들 중에도 물론
발우 공양에 대해 부담이 없는 이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들은 몇 번씩 해 본 이들입니다.
이 학생들은 몇 번 직접 해보았고,
실제로 더럽다는 마음이 잘못된 것임을 알기에
맘 편히 먹을 수 있는 것입니다.
마음을 바꾸면 더럽다는 그 마음을 놓을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와 같이 무언가를 판단할 때
이것과 저것을 비교하는 상대적인 분별심이 있기에,
더럽고 깨끗하다는 분별도 있는 것입니다.
더럽다고 했을 때 그것은 상대적으로 다른 것에 비해서 더러운 것이고,
깨끗한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나아가, 이러한 더럽고 깨끗한 가치의 분별은
좀 더 넓게 확대하여 해석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즉, 불구부정이란 공성의 이해는,
어떤 사물에만 깨끗하고 더러운 것이 있다고
분별하는 것을 없애려는 사상이 아니라,
사람의 인품이라든가, 인종, 학력, 재산, 명예 등에 있어서도
불구부정임을 올바로 깨닫게 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사람들을 대할 때 순수하게 다가서기보다는,
온갖 편견의 색안경을 쓰고 다가서게 마련입니다.
인간의 가치를 출신 성분이나, 사회적 신분,
재산의 유무, 학력의 고저 등에 의해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본래 태어나면서부터 못나고 잘난 것이 어디 있을 수 있으며,
청정하고 더러운 사람이 어떻게 나뉘어 질 수 있겠습니까.
모두가 공의 바탕, 연기법의 바탕에서는
스스로 존귀한 존재인 것입니다.

본래 더럽다거나 청정한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이 사상이야말로 영원하고 절대적인 인간 청정성의 회복이며,
인간 무죄의 엄숙한 선언인 것입니다.

존재의 본성, 인간의 본성은
더러워질래야 더러워질 수 없는 절대 청정한 것입니다.
다만 현실에서 행위를 어떻게 하며 살아가느냐에 따라
인연가합(因緣加合)으로 잠시동안 귀천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숫타니파타에서 다름과 같이 설하고 계십니다.

출생에 의해 천한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니고,
출생에 의해 바라문이 되는 것도 아니다.
그 행위에 의해서 천한 사람이 되고 바라문도 되는 것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03144) 서울특별시 우정국로 67 전법회관 401호 대한불교청년회T. 02)738-1920F. 02)735-2707E-mail. kyba1920@hanmail.net

COPYRIGHT ⓒ 2017 (사)대한불교청년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