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안의식(點眼儀式) -순서/설명/점안진언(點眼文 > 장경각

사이트 내 전체검색

모두가 함께 꿈을 이루어가는 청년 부처님의 세상
장경각

장경각

점안의식(點眼儀式) -순서/설명/점안진언(點眼文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보강 김영만 작성일09-11-23 16:00 조회9,728회 댓글1건

본문

수행의식 > 점안의식(點眼儀式)




불교신앙의 대상에다 생명력을 불어넣어 주는 의식으로 개안의식(開眼儀式)이라고도 한다.



불상이나 불화·만다라·석탑·불단 등을 새로 만들거나 개수하였을 때 반드시 이에 공양하고 불구(佛具)의 근본서원을 나타내기 이하여 여법하게 점안의식을 행한다.



 



≪석문의범≫점안편에는 모든 불상이나 탑은 종이·돌·천·나무의 천연물에 불과하다.



그 자연물에 조각을 하거나 그림을 그리고 바느질을 하면 일종의 예술품이 된다. 그런데 그 예술품을 신앙의 대상으로 인정하고 살아 계실 때의 불보살의 위신과 영감을 불어넣게 되면 같은 돌·나무·천이라 할지라도 그 속에는 부처님의 영험과 신통력이 들어가게 되어 있다. 그래서 모든 불구에는 가능한 점안의식을 베푼다.
 
http://www.gbs.or.kr/html/eu10.htm



--------------------------------------------------------



점안(點眼)이란?




 




불상에 생명력 불어넣는 의식




불상·조탑·불화 등



증명받아 성보로




◇사찰에서 행하는 점안은 불상 점안뿐 아니라 나한·조탑·가사 등이 있다. 사진은 서울 구룡사 와불 점안 법회.




<대승조성공덕경>에는 “모든 부처나 여래는 곧 법(法, 다르마)의 몸으로서 육체의 몸이 아니다(諸佛如來 卽是法性身 非色相身)”라고 하여 불자들이 형상에 집착하는 것을 경계하고, 진리에 눈 뜰 것을 강조하고 있다.



불자라면 누구나 절을 찾으면 맨 먼저 법당에 들러 부처님께 삼배를 하고, 때로는 불전에 공양물을 올리기도 한다. 부처님께서 형상에 집착하지 말라고 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우리가 불상에 경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불상을 조성하고, 법당에 모셔 예배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일종의 방편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공부하는 학생에게 학습에 도움이 되는 환경이 필요한 것처럼, 부처님 가르침을 따르는 불자들에게도 신심을 북돋아 줄 환경이 필요한 것이다. 이런 까닭에 사찰에서는 불?瓚?조성·봉안하고, 불자들은 그 불상 앞에 나아가 경배하면서 부처님 가르침을 믿고, 그 가르침에 따라 살아갈 것을 서원한다.



조각가에 의해 제작된 불상은 그 자체로만 본다면, 하나의 물질적 형상에 불과하다. 그러나 불상은 점안(點眼) 의식을 통해 진리의 가르침을 담은 성보로 태어난다. 새로 조성·봉안한 불상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불교 의식이 바로 점안이다. 점안은 또 개안(開眼) 또는 개광 명(開光明), 개안공양(開眼供養)이라고도 한다.



점안은 사찰에서 불상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의식구(儀式具)에 행하는 의례을 총칭하는 것이다. 사찰에서 행하는 점안은 불상 점안뿐만 아니라 나한(羅漢)·천왕(天王)·조탑(造塔)·불화(佛畵)·가사(袈裟) 점안 등이 있는데, 대상에 따라 의식 내용이 조금씩 달라진다.



점안 의식과 비슷한 의미로 쓰여지고 있는 봉불식(奉佛式)은 사찰에서 불상을 새로 모셨을 때 삼신불에게 생명력을 갖춘 불상으로서 증명을 받아 귀의의 대상으로 모시는 의식이다. 봉불식도 크게 점안에 포함되는 것이므로 점안 의식과 같은 절차를 밟는다.



점안 의식의 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도량을 깨끗이 정화하고 새로 조성한 불상이 경전에 나타난 부처님 형상의 특징인 32상 80종호를 그대로 갖춰 불교 신앙의 대상이 되어줄 것을 발원하면서 공양과 예배를 올린다. 그 다음 불상에 눈을 그려 넣음으로써 점안 의식을 마친??



나한 점안·시왕 점안 등도 불상 점안에 준하여 행하는데, 다만 나한과 시왕이 가지는 상호(相好)의 특징에 따라 점안에 대한 발원이 달라진다. 이렇게 점안 의식이 모두 끝나면 비로자나불을 비롯한 삼신불에게 그 불상이 영험을 지니게 되었음을 증명하는 의식인 불상증명 창불(佛像證明唱佛)로 모든 의식을 마무리한다.



탑도 조성하면 불상과 마찬가지로 점안을 하는데, 칠보함에 오색사리를 담아 탑 속에 넣어 영험 있는 탑이 되기를 빈다. 스님들이 법을 설할 때 입는 가사 또한 점안 절차를 거쳐야만 비로소 법을 설하는 권위를 얻게 되고, 부처님을 대신하여 지와 덕이 갖추어진 법의(法衣 )가 될 수 있다.



점안은 의식 자체로만 본다면 단순히 신앙의 상징물을 경배의 대상으로 격상시키는 차원으로 생각할 있다. 그러나 그 속에 담긴 뜻은 진리를 향해 가행정진하겠다는 불자들의 자기다짐이다.




http://www.buddhapia.co.kr/mem/hyundae/auto/newspaper/346/b-5.ht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03144) 서울특별시 우정국로 67 전법회관 401호 대한불교청년회T. 02)738-1920F. 02)735-2707E-mail. kyba1920@hanmail.net

COPYRIGHT ⓒ 2017 (사)대한불교청년회. ALL RIGHTS RESERVED.